[1]Antiresoptive Agent
1)SERM(선택적 여성 호르몬 수용체 조절제);척추골절 위험도 감소(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)
ET에대한 장점은 뼈와 심혈관계에 좋고,유방,자궁에는 작용 안한다.
단점)VTE risk 2~3배,hot flush에는 효과 없다
osteoclast formation blocking;RANKL block
1세대 Tamoxifene
2세대 Raloxifene(에비스타)60mg po qD ,골감소증에서 척추골절 예방 효과
3세대 Bazedoxifene(비비안트)20mg po qD
2)BP제(bisphosphonate); for 3~5y
골흡수 억제제(osteoclast를 apoptosis시킨다)
bone에 오래 달라붙는다.
척추,비척추,대퇴골절 위험도 감소
alendronate(포사맥스)10mg qD(70mg qW)
risedronate(악토넬)5mg qD(35mg qW)
ibandronate(본비바)150mg qM 주사제도 있음
zolendronate;5mg IV qY(제일 강하다)
pamidronate 주사제
CI :
임신,수유부,
저칼슘혈증,
VitD 부족증,
골연화증,
식도협착,
중증신부전증;
부작용)
1)G-I trouble GERD
2)Flu-like Sx
3)enal toxicity,Hypocalcemia(C-clearance 30 미만시 주의-신배설되는 약)
4)MRONJ(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Jaw) RANKL Ab인 denosumab과 혈관신생억제제인 bevacizumab에서도 일어난다.그래서 BRONJ->MRONJ로 이름 바뀜.
정의)
1.현재 또는 과거 골흡수억제제나,혈관신생억제제 사용한 경우
2.턱뼈가 노출되어 있거나 구강 내 또는 구강 외 누공이 8주 이상 지속
3.턱뼈에 방사선 치료 경력이 없는 경우
치과 치료 받을 경우 3개월 약을 끊는다.
5)AFF(Atypical femur Fx)
그래서(4,5번 문제 때문에)drug holiday-->
oral bisphosphonate 5Ys or IV zolendronate 3Ys경우 high risk 아니면 약을 쉰다.->매년 BMD해서 T score -2.5 이하거나 Fx생기거나 하면 다시 시작
3)RANKL(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-Β ligand )단클론항체(RANK ligand inhibitor);파골세포 활성 및 분화에 필수적인 RANKL에 대한 단클론 항체
Prolia프롤리아( denosumab); 폐경후 60mg sc inj q6m for 3y(총 6회) BMD증가 및 척추,대퇴골,비척추 골절 감소-T score -2.5 이하 적용
단점) MRONJ,AFF 일어날 수 있다
safety-cellulitis
일시적 hypocalcemia
그래서 칼슘과 Vit D 같이 처방해야한다.
rebound osteoporosis;약 끊고나서 그래서 약 끊고나서 BP제 쓰는 걸 권한다.
**OPG(osteoprotegerin)가 osteoblast의 파골세포화 방해한다
[2]Anabolic Agent;very high risk Fx Pt에서는 처음부터 사용 권한다.
(칼슘과 Vit D 같이 처방해야한다.)
4)PTH(부갑상선호르몬) analogs
osteogenesis 촉진제(유일 하다)->Fx에서 치유를 돕는다.AFF에서도 bone healing 촉진
부갑상선H은 원래 뼈에서 osteoclast 올려서 혈중 Ca 올리는데 하루 한 번 주사로는 paradox하게 osteoblast를 올린다.
(PTH 1-34)teriparatide(포스테오);20mcg sc inj qD for 2y(투여기간 2년 이내);2년이 지나면 결국 osteoclast도 올라간다.
골절예방,골밀도개선 효과와 통증완화 장점.steroid에의한 골다공증에 효과 좋다.골육종 발생 위험
①65세 이상,②중심골에서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에서 T-score<= -2.5,③2개 이상의 골다공증성 골절 있어야 보험 인정
abaloparatide
5)sclerostin monoclonal antibody(스클레로스틴 억제제)(Sclerostin inhibitor)
이베니티(romosozumab)
sclerosteosis라는 질환->sclerostin deficiency
osteocyte에서 sclerostin을 분비하면 osteoblast에서 뼈를 덜 만든다.
romosozumab이 이걸 막으면 뼈가 점점 형성이 된다.
지속기간은 1년이다->허가기간도 평생에 1년
[3]기타
6)Estrogen(여성호르몬)
ET(estrogen therapy)자궁 없는 경우
골밀도 감소 막고 척추,대퇴골 골절 위험도 감소
에스트로겐 결핍 증상 있는 초기 폐경여성에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목적
관상동맥질환에 도움.
EPT(estrgen-progesterone therapy)자궁이 있는 경우는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 위험 줄이려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트론도 함께 투여
단점)유방암,정맥혈전증(VTE),담낭질환,자궁내막암
7)티볼론
합성스테로이드
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프로게스트론의 특성을 보임
유방 자궁내막 자극 않으면서 폐경 증상 완화 및 폐경후 골 소실 예방효과
척추 및 비척추 골절 위험도 감소
8)TSEC(조직선택적 여성호르몬 복합제)
여성호르몬과 바제독시펜의 결합체
9)활성형 비타민 D;수산화 과정을 거친 Vit D,장에서 칼슘 흡수 증가.
칼시트리올(1,25-이수산화Vit D)
알파칼시돌(1알파-수산화 Vit D)
10)Vit K2
오스테오칼신의 카르복실화를 촉진
요추 골밀도 증가,척추 비척추 골절 감소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1]생활 관리
1)Ca(주로 BID로 식후 바로 복용)
폐경전 여성,50세 이전 남성;800~1000mg/d
폐경후 여성,50이상 남성;1000~1200mg/d
단점;신결석,심혈관질환(MI)->위험도 높은 사람은 Ca 고용량 치료 하지 마라
위장장애,변비
음식에서 섭취되므로 절반인 500mg 처방도...
2)Vit D
800 IU/d
type) D3(calcitriol,alphacalcidol),D2(ergocalciferol.cholecalciferol)
25-OH VitD level은 적어도 30ng/ml 이상이어야 좋다.
3)카페인 음주 흡연 줄이기,싱겁게 먹기
4)운동 & 낙상 예방
2]약물 치료
Ix
1)골다공증성 대퇴골절,척추골절
2)BMD;T-score<= -2.5 (QCT의 경우 요추 평균<= 80mg/cm3)
3)-2.5 < T-score <= -1 경우
ㅇ 과거 기타부위 골다공증성 골절(상완골,요골,골반골,늑골 포함)
ㅇ 골절 위험 증가하는 이차성 원인 존재
ㅇ FRAX(WHO가 제시한 10년내 골절 위험도 평가 도구)를 이용해(구글에서 쉽게 받을 수 있다)
대퇴골 골절 위험도가 3%이상
또는 주요부위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 20%이상(척추,대퇴골,손목,상완골 포함)
(Risk factors)
흡연,스테로이드,이차성골다공증,하루3단위 이상의 술 등
3]중증 골다공증
T-score<=-2.5 & 골다공증성 골절 1개 이상
진행된 중증 골다공증(advanced established osteoporosis)
1)나이 >= 65세
2)T-score<=-2.5
3) 골다공증성 골절 2개 이상
4]골절 초위험군(very high risk)
(1)맞춤치료-->anabolic agent골형성촉진제를 우선 사용(romosozumab=이베니티;골형성촉진 & 골흡수억제 2중 작용-->1년치료에 약 15%척추 골량 증가) 후
(2)순차치료-->골흡수억제제(denosumab=프롤리아;부작용 적다)
(3)장기지속치료-->골흡수억제제(zolendronate)
Tx
1)가능한 조기 수술 및 술후 조기 거동
2)재골절 예방;골다공증 치료 및 낙상 예방
3)골다공증 치료 경험 없을 경우 일반적인 약제
4)진행된 중증이거나 기존 약물 반응 불충분할 경우 골형성촉진제(테리파라타이드)&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(데노수맙)
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
의료보험 조건
1)T-scccor<=-2.5경우 1년간 급여
2)골절 환자는 3년간 허용
3)이후 추적검사에서 <=-2.5 경우 계속 급여
'건강 > 의학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M Tx (0) | 2013.11.27 |
---|---|
HBV (0) | 2013.10.22 |
NOAC(New Oral AntiCoagulant) & AntiPlatelet (0) | 2013.03.13 |
Cockcroft & Gault Equation & MDRD 공식 & CKD-EPI (0) | 2012.11.09 |
Friedewald공식 (0) | 2012.11.09 |